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지식인의 인공지능 견문록: 눈 검사로 심뇌혈관질환 검사를?
    카테고리 없음 2023. 2. 12. 11:48
    728x90

    전국 보건소 최초로 인공지능을 이용한 망막질환 및 심혈관질환 분석 서비스를 강동구(구청장  이정훈) 천호보건지소(구천면로 297-5, 천호아우름센터 1층)에서 식약처 인증 혁신의료기기로 선정된 Dr.Noon이라 불리는 인공지능을 서비스하기 시작해서 화재가 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심뇌혈관질환 솔루션 소개

    강동구 보건소의 서비스 소개를 보면 대사증후군은 그대로 방치할 경우 뇌졸중, 심장질환, 당뇨망막병증 등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서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이에 20세 이상 주민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및 만성질환 예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건강관리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안저검사서비스는 천호보건지소 건강관리센터에 등록된 대상자에게 제공된다고 합니다.

     

    안저검사(눈검사)를 통해서 어떻게 심뇌혈관 질환을 알 수 있을까?

     

    미국 심장학회에서 발간하는 고지혈증 치료 표준 임상지침에서는 중등도 위험군에 대해서 환자의 약물복용 시작을 결정하기 위해 개인의 위험도를 평가하는데, 심장 CT 기반으로 관상동맥석회화지수(CACS: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검사를 권고하고 있다고 합니다. 말이 좀 어려운데 쉽게 설명해 보자면 심혈관 위험이 있어서 약물처방을 위해 하는 검사가 관상동맥에 석회화 즉, 관상동맥이 딱딱해지는 것에 대한 정도를 검사해서 판단한다는 것입니다.

     

    안저검사를 통한 CVD 검사화면

    눈은 신체중 유일하게 혈관을 촬영하고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기관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눈을 통해 다양한 검사를 하고 이를 활용하는 인공지능들이 개발되고 있는데요. 여기서 이야기하는 검사 외에도 안저검사를 기반으로 치매검사를 하는 인공지능도 개발되고 있다고 합니다.

     

    개발사에서 세계적인 의학저널, The LANCET Digital Health에 출판한 내용을 살펴보면 이 인공지능을 개발하기 위해서 10만 명에대해 같은 날 촬영한 망막-전신질환 위험인자 매칭 데이터를 이용해서 개발을 했다고 합니다. 이를 통해 현재 가장 정확하다고 알려진 심혈관위험평가 엔진인 CACS(위에서 이야기한 관상동맥석회화 지수)와 동등한 선능을 보여 주었다고 합니다. 개발사는 이를 통해 심혈관질환뿐만 아니라 고혈압, 콩팥질환, 비만도 등 전신질환 위험인자를 망막사진만으로 예측가능함을 입증했고 다양한 인공지능 솔루션을 추가로 개발하고 있다고 합니다.

     

    안저검사를 통한 심혈관검사의 장점

    통상 심혈관검사를 위해서 심장CT를 한다고 하는데, 이검사는 예약 후 검사가 통상 2주 이상 걸리고, 검사시간도 30분 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또한 소비자 입장에서는 검사비용도 부담이 되고, 병원 측에서도 영상의학전문의나 방사선사가 필요한 검사입니다. 그리고 많이 우려하는 방사선 노출에 대한 위험도 있다고 합니다.

     

    이에 반해 안저검사를 통한 심혈관질환 검사는 심장CT와 동등한 성능을 입증받아서 혁신의료기기로 선정되었고, 의학 저널등에 출판을 해 학계에서도 인정을 받은 솔루션으로 3분 정도의 빠른 검사, 안저검사를 통하기 때문에 낮은 검사비용, 그리고 간호사가 촬영하는 간편함, 마지막으로 방사능 노출이 없다는 점에서 앞으로 많은 도입을 통해 서비스될 것이라 예상됩니다.

     

    마지막으로

    이 Dr. Noon이라는 솔루션은 세브란스 병원과 싱가포르 General Hospital에서 임상의와 의료데이터 전문가를 통해 정밀하게 라벨링 되었다고 하고, 말씀드린 바와 같이 이제 보건소에서도 무료로 서비스되는 단계에 왔습니다. 아직 국내에 동네 의원에서 많이 선보이고 있지는 않지만 조만간 일반인들이 큰 비용 부담 없이 검사를 받아서 심혈관 질환이 의심되거나 치료 중인 분들의 건강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